AI융합혁신대학원
부스번호 | 대학명 | 항목 | 내용 |
---|---|---|---|
19 | 경희대학교 | 대학원소개 |
1) 개요 - 실전적 AI 융합 인재 양성을 통한 세계 50대 AI 교육기관 2) 전공명 - 인공지능학과를 중심으로 4개 AI 융합 분야(지능반도체, 통합의학, 스마트제조, 자율자동차및 로봇) 관련 학과인 전자공학과, 생체의공학과, 의학과, 한의학과, 산업경영공학과, 경영학과, 기계공학과가 연계하여 운영 3) 주요 내용 -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AI 융합 인재 - AI+X 융합 능력과 실전 능력을 갖춘 인재 - 인간 중신의 윤리 의식을 갖춘 인재 - 생태 경제학적 가치를 추구하는 인재 |
지원자격 |
1) 석사과정 및 석사․박사학위 통합과정 - 국내⋅외 학사학위 이상의 학위 취득자(학위 취득예정자 포함) 또는 법령에 의하여 학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2) 박사과정- 국내⋅외 석사학위 이상의 학위 취득자(학위 취득예정자 포함) 또는 법령에 의하여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
||
합격자 혜택 |
추가 인건비 지원 AI 우수 학술대회 등록비 및 여비 지원 실습 및 연구용 고성능 서버 지원 기업 및 전문가 초청 강연을 통한 실무 능력 향상 |
||
20 | 이화여자대학교 | 대학원소개 |
1) 개요 - 'AI for A Better World, 보다 더 나은 세상을 위한 AI 융합', 산업계 현안 해결형 AI 융합 인재와 세계적 수준의 글로벌 AI 융합 인재 양성 2) 전공명 - 일반대학원 인공지능·소프트웨어학부 인공지능융합전공 3) 주요 내용 - (핵심가치) Global & Open & Education with convergence & With diversity & Harmonized & AI for All - (추진전략) 모두를 위한 AI 교육 제공, 문제해결형 AI 융합인재 양성, AI 융합산학 생태계 구축 - (교육) 실무형 맞춤 AI융합인재양성을 위해 AI-Core, AI융합영역별 특화교육, AI산업체 실무 3가지 교과영역 분류, 이론부터 제품 상용화까지 산업체 프로젝트 전 주기 경험가능, 다양한 전공과 비전공자를 아우르는 수준별 교육체계 구축 - (연구) AI 의료·바이오 융합분야와 AI 기반 융합 기술분야의 수요자 중심/산업중심 연구 활동 - (산학) 수혜자 중심 프로젝트 기반 산학협력모델을 구축하여 산학교차 인턴십, 재직자 AI혁신교육 등을 통해 대학과 기업의 상호활동 강화 |
지원자격 |
1) 석사학위 / 통합과정 - 국내·외 대학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또는 2025년 8월까지 취득 예정인 사람 - 기타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사람 2) 박사학위과정 - 국내·외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또는 2025년 8월까지 취득 예정인 사람 - 기타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사람 |
||
합격자 혜택 |
1) 입학생 등록금 전액 지원(입학금 제외) - 인공지능융합인재양성사업(2022.09~2025.12) 재원으로 지원되며 해당 사업 지침에 따라 지급됨 2) 우수학술대회 탐방 지원 - 인공지능융합인재양성사업(2022.09~2025.12) 재원으로 지원되며 해당 사업 지침에 따라 지급됨 |
||
21 | 인하대학교 | 대학원소개 |
1) 개요 - B.R.I.D.G.E형(Build Reinforced Industry by Developing AI - Generating Engineers) 융합대학원 - 인천지역 특화 산업인 제조·물류·포털(공항·항만)·의료 산업에 특화된 혁신형 인공지능 인재 양성 2) 전공명 일반대학원 전기컴퓨터공학과 인공지능전공 3) 주요 내용 (교육) A4·AI(Active-Achievable–Adaptive-Affordable) 교육 모델을 설정하여 실질적인 산학융합 인재양성 및 인공지능 확산을 목표로 수요 지향적 문제해결 프로젝트 기반의 선진적인 교과과정 운영 (연구) 제조·물류·포털(공항·항만)·의료 산업을 기반으로 산학 쌍둥이형 (AI-Twin) 산학협력 전개 - 제조 : 시각 인식에 중점을 둔 스마트 제조장비 및 스마트 팩토리 핵심기술 개발 - 물류 : 생활 물류 기술과 스마트 물류 관리 기술로 나누어 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의 물류 기술 개발 - 포털 : 항공, 해양 시계열 데이터 기반 예측 기술 개발 - 의료 : 시계열 생체신호 처리와 의료 영상분석 분야로 특성화하여 실제 임상에서 쓰일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요소 기술 개발 (산학) 제.물.포.의 산업에 맞는 문제 해결형 수요 지향적 산학공동프로젝트 발굴 및 운영, "1팀 1산학프로젝트"로 각 학생이 1개의 협력기관과의 공동 연구 참여, 총 66개 협력기관과 연계하여 매년 15개 이상 산학공동프로젝트 발굴 및 진행, "현장방문, 인턴십"을 통한 취업 연계 유도 (AI확산) AI+X 문제해결형 경진대회(인하 AI 챌린지) 운영, 재직자 교육을 위한 특수대학원 운영, 24 PetaFLOPS 규모의 인공지능 GPU 컴퓨팅 자원 공유, 지역 사회 대상으로 "AI Help Desk, AI Tech Clinic" 운영, 교내 인공지능 기술확산을 위한 교원대상 "AI확산연구회" 운영, AI 비교과 단기과정 운영, "인공지능융합세미나" 운영 및 지역사회에 개방 |
지원자격 |
[석사 및 석·박사 통합 과정] 1. 국내 외 정규 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입학일 이전에 취득 예정자 2. 법령에 의하여 위와 동등한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박사 과정] 1. 국내 외 정규 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입학일 이전에 취득 예정자 2. 법령에 의하여 위와 동등한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
||
합격자 혜택 |
- 정규 학기 등록금 보조 - 고성능 GPU 서버 무상 지원 - 프로젝트 참여 시 인건비 추가 지원 - 국내 외 학술대회 참가 지원 - 창업 지원 및 기숙사 우선 배정 |
||
22 | 충남대학교 | 대학원소개 |
1) 목표 - 세계적 수준의 AI 기술을 이해하고 실제 산업 현장의 문제를 찾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실무형 AI분야 고급 인재 양성 2) 전공명 - 바이오AI융합학과: AI 생명·약학 전공, AI 동물바이오 전공, AI 식물바이오 전공 - 컴퓨터공학과: 인공지능 전공 3) 주요 내용 - (교육) 특화산업분야의 AI융합혁신인재 양성: 지역의 기술 및 인력 수요를 기반으로 3개의 세부 트랙(AI메디바이오, AI농생명바이오, AI스마트라이프) 교육과정 구성, 운영 및 산학공동프로젝트 연계 교육 진행 - (연구) AI⦁Domain 초융합 모델 기반 연구: 바이오AI융합연구센터를 중심으로 국책 연구소, 공공기관, 산업체와 산학협력 AI 연구생태계를 구축하고, AI와 Domain 분야의 연구진을 초융합한 산학공동연구 프로젝트를 체계화하여 특허, 논문, 기술이전과 같은 핵심 연구성과 도출 - (산학협력) 산합협력 콘소시엄 기반 창업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 지역특화 산업체 및 공공기관과 업무협약체결을 통한 산학교차인턴십, 겸직(겸임)교수제, 산업체 친화형 교육과정 운영 및 연구성과에 대한 실질적 기술 사업화 지원체계 구축 및 창업 밀착 지원 |
지원자격 |
1) 석사과정 및 석·박사통합과정 - 국내·외 학사 이상의 학위 소지자 또는 2026년 2월 말까지 취득 예정자 - 법령에 의거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하는 자 2) 박사과정 - 국내·외 석사 이상의 학위 소지자 또는 2026년 2월 말까지 취득 예정자 - 법령에 의거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하는 자 |
||
합격자 혜택 |
1) 장학금 등 재정 지원(전일제 학생 대상) - 등록금 및 학생 인건비 지원 > 25년 기준: 1~2학기차 - 등록금 전액, 석·박사 지정 인건비 지급 3~4학기차 - R&D 성과에 따른 등록금 차등 지급, 석·박사 지정 인건비 지급 - R&D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 추가 지급 - 기타 국내외 학술행사 참가 지원, 해외연수 및 창업지원 |
||
23 | 한양대학교 ERICA | 대학원소개 |
1) 개요 - 혁신적인 AI 기술 개발을 선도할 학술 인재, 글로벌 산업계의 성장을 주도할 산업 인재, AI 신기술 사업화에 도전할 기술창업 인재를 양성 - 인공지능 지식을 기반으로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융합적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산학인재 양성 2) 전공명 -일반대학원 인공지능융합학과, 휴먼로봇인공지능융합전공, 바이오인공지능융합전공 3) 주요 내용 -(교육)실용적 융합교육과정 지향하며 인공지능 산학 커리큘럼 및 수업 운영체계를 위한 산업체 의견 수렴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IAB (Industry Advisory Board), M type IC-PBL+, 대학원 G캡스톤 운영, 전주기(Level)별 인공지능교육 운영 -(연구)성과지향형 실용적 연구개발을 통하여 인공지능 융합연구 고도화, 다학제적 연구시스템 구축을 통한 공동 연구체계 확립 -(산학)현장 중심형 AI융합 프로젝트 운영: 17개 AI융합 서비스/제품 관련 협력기업 및 49개 HAI(Hanyang AI) 멤버십 기업 참여, 22개 기업 산학네트워크 협력 참여 -(지원시스템)체계적인 산학협력 및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행정 시스템으로 연구지원 : AI융합연구소를 활용한 원-스톱 서비스(산학연구지원, 산학 현장교육 지원, 인턴십 관리, 산학 온라인 교육 콘텐츠 기획, 산학결과물 전시홍보, 지적재산권 관리 지원 등) |
지원자격 |
1)석사과정 및 석박사학위통합과정 - 국내외 대학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학위 취득예정자 - 법령에 의하여 위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을 받은 자 2)박사과정 - 국내외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학위 취득예정자 - 법령에 의하여 위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을 받은 자 |
||
합격자 혜택 |
-전일제 학생 등록금 전액 지원(정부지원사업기간 내) -연구실별 산학프로젝트 수행에 따른 학생인건비 지원 및 인턴십 지원 -대학원생 연구공간 지원 및 공용 연구시설장비 사용 지원 |
||
24 | 부산대학교 | 대학원소개 |
1) 개요 - 디지털 대전환을 선도하는 현장 데이터 기반의 산업문제 해결형 인공지능 기술 기반 글로벌 산학 인재 양성 2) 전공명 - 대학원 정보융합공학과 AI전공 3) 주요 내용 - (선발): 동남권 우수학부생 유치(전공자&비전공자), 수요산업계 인력 - (교육): · 교과 활동: 실무 중심 AI 핵심 및 AI 융합 교과 (AI+제조·물류, AI+헬스케어) · 비교과: 입학 전 보충과목이수(비전공자), 현장실습 및 인턴십, MOOC 지원 - (연구): 학생주도 AI 융합 프로젝트 수행(산업 수요 기반) - (산학): 지역 특화 산학협력 지원 시스템, 채용 연계형 인턴십 |
지원자격 |
1) 석사과정 - 국내·외 대학에서 학사학위 취득(예정)자 - 법령에 의하여 위 항과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2)박사과정 - 국내·외 대학에서 석사학위 취득(예정)자 - 법령에 의하여 위 항과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3)석·박사 통합과정 - 국내․외 대학 또는 법령에 의하여 인정된 학사학위 취득(예정)자 ≪통합1 유형≫ - 부산대학교 석사과정에서 15학점 이상 취득(예정)자 중 진학대상자 ≪통합2 유형≫ |
||
합격자 혜택 |
- 대학원 과정 기간 등록금 및 연구장려금 지급(장학제도는 변경될 수 있으며 본원 규정에 의거하여 지급함) - 전일제 신입생 등록금 전액 지원 - 연구 우수 성과 대학원생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등 해외 연수 기회 제공 - NeurIPS, ICML 등 해외 Top Tier AI 컨퍼런스 참가 지원 - LG전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전기연구원(KERI), 씨젠의료재단 AI연구소 등 국내 협력기관 인턴쉽 기회 제공 - 개인 연구장비지원 및 전용 연구공간 지원 |
||
25 | 동국대학교 | 대학원소개 |
1) 개요 - 4차 산업혁명 사회에서 최첨단 지능정보 역량을 기반으로 사회 전반에 혁신을 이루고 이를 선도하기 위한 인재 육성 2) 전공명 - 일반대학원(컴퓨터·AI학과) * 7개 전공 운영 : 컴퓨터공학, 멀티미디어소프트웨어, 인공지능, 정보보안융합, 게임공학, 보건의료AI, 융합콘텐츠AI 3) 주요 내용 - (교육) 급변하는 인공지능과 융합학문 교육의 유연성 향상을 위한 신규 모듈형 교과과정 수립 - (연구) AI융합연구 촉진을 위한 동국대 전 캠퍼스를 인공지능 테스트베드화 하여 기업의 문제를 직접 체험하면서 협력하는 AI 연구 촉진 - (산학) 산업 니즈에 기반한 산학공동 프로젝트 추진 및 모듈형 교과과정을 통해 맞춤형 인재 양성 - (체계) AI 융합 확산을 위한 타 학문과의 '마중'교과 운영, Best practice 도입을 위한 국내 및 글로벌 자문단 운영, 활성화 및 자립화를 위한 플랫폼 전략 |
지원자격 |
1) 석사과정 및 석박사통합과정 - 국내·외 대학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2026년 2월 말 이전 취득 예정자 -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하여 위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 - 학사과정 출신학과 또는 전공과 관계없이 지원할 수 있음 ※ 단, 비동일 학과 출신자는 입학 후 소정의 학부 개설과목(선수과목)을 이수하여야 함 2) 박사과정 - 국내·외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2026년 2월 말 이전 취득 예정자 -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하여 위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 - 석사과정 출신학과 또는 전공과 관계없이 지원할 수 있음 ※ 단, 비동일 학과 출신자는 입학 후 소정의 석사과정 개설과목(선수과목)을 이수하여야 함 |
||
합격자 혜택 |
1) 학위 과정 등록금 및 생활비 일부 지원 2) 50억 이상 규모의 딥러닝 서버 실험 환경 제공 3) 글로벌 교류 프로그램 참여 기회 제공 (카네기멜론대학교,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등) |
||
26 | 전남대학교 | 대학원소개 |
1) 개요 ▸ 전남대학교 인공지능융합대학원은 지역거점 국립대로서 미래기술을 선도하는 국내 최고 AI-HOME 융합 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을 비전으로 AI융합실전 교육을 통한 국가 및 지역산업 핵심인재 양성을 목표로 함 ▸ T.R.A.I.N을 핵심가치로, 인재상을 '인공지능핵심기술 및 융합기술을 AI-HOME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인재'로 설정하고 지역 기업들이 겪는 기술적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인력을 공급함으로써 지역 및 국가산업 발전에 공헌하고자 함 (※ T:Two-track(X+AI, AI+X), R:Real demonstation, A:AI micro degree, I:Industrial field-oriented, N:New trend) 2) 전공명 ▸인공지능융합 3) 주요 내용 ▸ 지역 전략산업과의 전략적 연계를 위해 AI 융합분야를 HOME(Healthcare On demand(HO), Mobility(M), Energy(E))로 선정하여 AI-HOME 융합인력 양성을 추진 ▸ Two-Track 교육과정 운영 : X+AI 인재를 위한 융합과정과 AI+X 인재를 위한 AI심화과정의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 산업체 현장에 바로 투입이 가능한 실무능력을 갖추고 기업 수요를 만족할 수 있는 현장 밀착형 인공지능 융합 인재양성 |
지원자격 |
▸석사학위과정 ∙ 학사학위 소지(예정)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박사학위과정 ∙ 석사학위 소지(예정)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석․박사학위과정 ∙ 학사학위 소지(예정)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
||
합격자 혜택 |
▸ 장학혜텍 ∙ 석․박사통합 과정-대학원총장 명예장학생(GS-PHF) - 전학기 등록금 전액 감면 ∙ 박사 진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석사과정 2학년 재학생 및 수료생으로 박사과정 진학 예정자 1인당 10,000천원지원 ∙ 자대 학사 졸업 후 석사 진입 - 도전(미래)장학 - 이공계열 2,300천원 ∙ 석사, 박사, 석․박사통합 과정 - 연구조교(RA) 월 300~500천원 지원, BK연구조교(TA) 월 400~500천원 지원 - GA 월 400천원 ∙ 전일제 대학원생 Fellowship 장학금 최소 1,000천원 지원 ∙ 전일제 대학원생 BK연구장학금 지원 ∙ 교내․교외 장학금 지원 ∙ 연구논문장려 지원-단독저자, 주저자로 논문 게재시 300~900천원 지원 ∙ 국외연수 지원 ∙ 외국어능력 향상 지원-전남대학교 언어교육원 외국어강좌 수강료 지원 ∙ 대학원 인재상 시상-우수 연구자 및 국제공동연구자 시상 1,000~2,000천원 ▸등록금에 준하는 학생인건비 지급 ▸우수성과 장학금 지원(AI해커톤 경진대회 및 산학협력 성과공유발표회 등) ▸학술 활동비 지원 ∙ 특허등록비용 지원(전액 지원) ∙ 학술지 게재 비용 지원(최대 전액 지원) ∙ 국제학술대회 논문 발표 관련 등록비 및 여비 지원 ∙ 국제학술교류 여비 지원(최대 6,000천원 지원) ∙ 국제공동연수(박사 및 박사수료생) 최대 26,000천원 지원 ▸창의자율과제를 통한 연구활동 지원(매년 5~12팀 지원) 최대 3,000천원 지원 |
||
27 | 아주대학교 | 대학원소개 |
1) 개요 - 스타트업 마인드를 갖춘 실전형 AI 융합 고급인재 양성 • 인공지능 핵심 연구·개발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 • 산업체의 실무 문제 해결형 실전적 인재 양성 • AI스타트업 생태계의 DNA를 갖춘 인재 양성 2) 전공명 - 일반대학원 인공지능학과 3) 주요 내용 - (교육) BCDF 4단계 및 AMP 계층별 인공지능 심화교육, AI스타트업이 참여하는 실전 프로젝트 교육 - (연구) DREAM AI 코어기술 연구, 산업체 수요자 중심 융합 연구 - (산학협력) 산학공동 프로젝트 수행, 프로젝트 교육과 연계한 교차 인턴십 - (가치확산) 판교/광교 생태계 협력 확산, AI워크숍 공동 계최 및 재직자 교육 활용 - (사회공헌) AI스타트업 인력난 해소, AI 소양 및 스타트업 마인드 인력 배출 |
지원자격 |
1) 석사과정 • 국내·외 4년제 대학(교) 졸업 및 졸업예정자 • 기타 법령에 따라 위와 동등한 자격이 있다고 인정된 자 • 학·연·산 협동과정 지원자는 협약 연구소의 연구원 또는 산업체에 재직 중인 자로서 협약기관의 추천을 받은 자에 한함 2) 박사과정 • 국내·외 대학원에서 석사학위 취득자 및 취득예정자 • 기타 법령에 따라 위와 동등한 자격이 있다고 인정된 자 • 학·연·산 협동과정 지원자는 협약 연구소의 연구원 또는 산업체에 재직 중인 자로서 협약기관의 추천을 받은 자에 한함 3) 석박사 통합과정 • 국내·외 4년제 대학(교) 졸업 및 졸업예정자 • 기타 법령에 따라 위항과 동등한 자격이 있다고 인정된 자 • 학부 졸업성적이 3.0 (4.50만점) 이상인 자 또는 출신대학의 해당 학과장(전공주임교수)의 추천(자유양식)을 받은 자 |
||
합격자 혜택 |
• 등록금 장학 100% 지급 및 매월 장학금 추가 지급 • 네이버, 카카오, 매스프레소 등 AI 스타트업 인턴십 기회 • 장기 인턴십 수행 시 석사졸업논문 대체 • 40개 대기업 및 유망 스타트업과의 산학공동프로젝트 참여 • 아주대 의대/약대 교수진이 참여하는 바이오메드 교육 • 포티투닷, 쏘카가 직접 하는 모빌리티 프로젝트 교육 • 취/창업 교육 및 연 4회 AI 워크샵 교육 무료참여 |
부스번호 : 19
경희대학교
대학원소개
1) 개요
- 실전적 AI 융합 인재 양성을 통한 세계 50대 AI 교육기관
2) 전공명
- 인공지능학과를 중심으로
4개 AI 융합 분야(지능반도체, 통합의학, 스마트제조, 자율자동차및 로봇) 관련 학과인 전자공학과, 생체의공학과, 의학과, 한의학과, 산업경영공학과, 경영학과, 기계공학과가 연계하여 운영
3) 주요 내용
-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AI 융합 인재
- AI+X 융합 능력과 실전 능력을 갖춘 인재
- 인간 중신의 윤리 의식을 갖춘 인재
- 생태 경제학적 가치를 추구하는 인재
- 실전적 AI 융합 인재 양성을 통한 세계 50대 AI 교육기관
2) 전공명
- 인공지능학과를 중심으로
4개 AI 융합 분야(지능반도체, 통합의학, 스마트제조, 자율자동차및 로봇) 관련 학과인 전자공학과, 생체의공학과, 의학과, 한의학과, 산업경영공학과, 경영학과, 기계공학과가 연계하여 운영
3) 주요 내용
-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AI 융합 인재
- AI+X 융합 능력과 실전 능력을 갖춘 인재
- 인간 중신의 윤리 의식을 갖춘 인재
- 생태 경제학적 가치를 추구하는 인재
지원자격
1) 석사과정 및 석사․박사학위 통합과정
- 국내⋅외 학사학위 이상의 학위 취득자(학위 취득예정자 포함) 또는 법령에 의하여 학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2) 박사과정
- 국내⋅외 석사학위 이상의 학위 취득자(학위 취득예정자 포함) 또는 법령에 의하여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 국내⋅외 학사학위 이상의 학위 취득자(학위 취득예정자 포함) 또는 법령에 의하여 학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2) 박사과정
- 국내⋅외 석사학위 이상의 학위 취득자(학위 취득예정자 포함) 또는 법령에 의하여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합격자 혜택
- 추가 인건비 지원
- AI 우수 학술대회 등록비 및 여비 지원
- 실습 및 연구용 고성능 서버 지원
- 기업 및 전문가 초청 강연을 통한 실무 능력 향상
- AI 우수 학술대회 등록비 및 여비 지원
- 실습 및 연구용 고성능 서버 지원
- 기업 및 전문가 초청 강연을 통한 실무 능력 향상
부스번호 : 20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소개
1) 개요
- 'AI for A Better World, 보다 더 나은 세상을 위한 AI 융합', 산업계 현안 해결형 AI 융합 인재와 세계적 수준의 글로벌 AI 융합 인재 양성
2) 전공명
- 일반대학원 인공지능·소프트웨어학부 인공지능융합전공
3) 주요 내용
- (핵심가치) Global & Open & Education with convergence & With diversity & Harmonized & AI for All
- (추진전략) 모두를 위한 AI 교육 제공, 문제해결형 AI 융합인재 양성, AI 융합산학 생태계 구축
- (교육) 실무형 맞춤 AI융합인재양성을 위해 AI-Core, AI융합영역별 특화교육, AI산업체 실무 3가지 교과영역 분류, 이론부터 제품 상용화까지 산업체 프로젝트 전 주기 경험가능, 다양한 전공과 비전공자를 아우르는 수준별 교육체계 구축
- (연구) AI 의료·바이오 융합분야와 AI 기반 융합 기술분야의 수요자 중심/산업중심 연구 활동
- (산학) 수혜자 중심 프로젝트 기반 산학협력모델을 구축하여 산학교차 인턴십, 재직자 AI혁신교육 등을 통해 대학과 기업의 상호활동 강화
- 'AI for A Better World, 보다 더 나은 세상을 위한 AI 융합', 산업계 현안 해결형 AI 융합 인재와 세계적 수준의 글로벌 AI 융합 인재 양성
2) 전공명
- 일반대학원 인공지능·소프트웨어학부 인공지능융합전공
3) 주요 내용
- (핵심가치) Global & Open & Education with convergence & With diversity & Harmonized & AI for All
- (추진전략) 모두를 위한 AI 교육 제공, 문제해결형 AI 융합인재 양성, AI 융합산학 생태계 구축
- (교육) 실무형 맞춤 AI융합인재양성을 위해 AI-Core, AI융합영역별 특화교육, AI산업체 실무 3가지 교과영역 분류, 이론부터 제품 상용화까지 산업체 프로젝트 전 주기 경험가능, 다양한 전공과 비전공자를 아우르는 수준별 교육체계 구축
- (연구) AI 의료·바이오 융합분야와 AI 기반 융합 기술분야의 수요자 중심/산업중심 연구 활동
- (산학) 수혜자 중심 프로젝트 기반 산학협력모델을 구축하여 산학교차 인턴십, 재직자 AI혁신교육 등을 통해 대학과 기업의 상호활동 강화
지원자격
1) 석사학위 / 통합과정
- 국내·외 대학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또는 2025년 8월까지 취득 예정인 사람
- 기타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사람
2) 박사학위과정
- 국내·외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또는 2025년 8월까지 취득 예정인 사람
- 기타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사람
- 국내·외 대학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또는 2025년 8월까지 취득 예정인 사람
- 기타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사람
2) 박사학위과정
- 국내·외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또는 2025년 8월까지 취득 예정인 사람
- 기타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사람
합격자 혜택
1) 입학생 등록금 전액 지원(입학금 제외)
- 인공지능융합인재양성사업(2022.09~2025.12) 재원으로 지원되며 해당 사업 지침에 따라 지급됨
2) 우수학술대회 탐방 지원
- 인공지능융합인재양성사업(2022.09~2025.12) 재원으로 지원되며 해당 사업 지침에 따라 지급됨
- 인공지능융합인재양성사업(2022.09~2025.12) 재원으로 지원되며 해당 사업 지침에 따라 지급됨
2) 우수학술대회 탐방 지원
- 인공지능융합인재양성사업(2022.09~2025.12) 재원으로 지원되며 해당 사업 지침에 따라 지급됨
부스번호 : 21
인하대학교
대학원소개
1) 개요
- B.R.I.D.G.E형(Build Reinforced Industry by Developing AI - Generating Engineers) 융합대학원
- 인천지역 특화 산업인 제조·물류·포털(공항·항만)·의료 산업에 특화된 혁신형 인공지능 인재 양성
2) 전공명
일반대학원 전기컴퓨터공학과 인공지능전공
3) 주요 내용
(교육) A4·AI(Active-Achievable–Adaptive-Affordable) 교육 모델을 설정하여 실질적인 산학융합 인재양성 및 인공지능 확산을 목표로 수요 지향적 문제해결 프로젝트 기반의 선진적인 교과과정 운영
(연구) 제조·물류·포털(공항·항만)·의료 산업을 기반으로 산학 쌍둥이형 (AI-Twin) 산학협력 전개
- 제조 : 시각 인식에 중점을 둔 스마트 제조장비 및 스마트 팩토리 핵심기술 개발
- 물류 : 생활 물류 기술과 스마트 물류 관리 기술로 나누어 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의 물류 기술 개발
- 포털 : 항공, 해양 시계열 데이터 기반 예측 기술 개발
- 의료 : 시계열 생체신호 처리와 의료 영상분석 분야로 특성화하여 실제 임상에서 쓰일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요소 기술 개발
(산학) 제.물.포.의 산업에 맞는 문제 해결형 수요 지향적 산학공동프로젝트 발굴 및 운영, "1팀 1산학프로젝트"로 각 학생이 1개의 협력기관과의 공동 연구 참여, 총 66개 협력기관과 연계하여 매년 15개 이상 산학공동프로젝트 발굴 및 진행, "현장방문, 인턴십"을 통한 취업 연계 유도
(AI확산) AI+X 문제해결형 경진대회(인하 AI 챌린지) 운영, 재직자 교육을 위한 특수대학원 운영, 24 PetaFLOPS 규모의 인공지능 GPU 컴퓨팅 자원 공유, 지역 사회 대상으로 "AI Help Desk, AI Tech Clinic" 운영, 교내 인공지능 기술확산을 위한 교원대상 "AI확산연구회" 운영, AI 비교과 단기과정 운영, "인공지능융합세미나" 운영 및 지역사회에 개방
- B.R.I.D.G.E형(Build Reinforced Industry by Developing AI - Generating Engineers) 융합대학원
- 인천지역 특화 산업인 제조·물류·포털(공항·항만)·의료 산업에 특화된 혁신형 인공지능 인재 양성
2) 전공명
일반대학원 전기컴퓨터공학과 인공지능전공
3) 주요 내용
(교육) A4·AI(Active-Achievable–Adaptive-Affordable) 교육 모델을 설정하여 실질적인 산학융합 인재양성 및 인공지능 확산을 목표로 수요 지향적 문제해결 프로젝트 기반의 선진적인 교과과정 운영
(연구) 제조·물류·포털(공항·항만)·의료 산업을 기반으로 산학 쌍둥이형 (AI-Twin) 산학협력 전개
- 제조 : 시각 인식에 중점을 둔 스마트 제조장비 및 스마트 팩토리 핵심기술 개발
- 물류 : 생활 물류 기술과 스마트 물류 관리 기술로 나누어 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의 물류 기술 개발
- 포털 : 항공, 해양 시계열 데이터 기반 예측 기술 개발
- 의료 : 시계열 생체신호 처리와 의료 영상분석 분야로 특성화하여 실제 임상에서 쓰일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요소 기술 개발
(산학) 제.물.포.의 산업에 맞는 문제 해결형 수요 지향적 산학공동프로젝트 발굴 및 운영, "1팀 1산학프로젝트"로 각 학생이 1개의 협력기관과의 공동 연구 참여, 총 66개 협력기관과 연계하여 매년 15개 이상 산학공동프로젝트 발굴 및 진행, "현장방문, 인턴십"을 통한 취업 연계 유도
(AI확산) AI+X 문제해결형 경진대회(인하 AI 챌린지) 운영, 재직자 교육을 위한 특수대학원 운영, 24 PetaFLOPS 규모의 인공지능 GPU 컴퓨팅 자원 공유, 지역 사회 대상으로 "AI Help Desk, AI Tech Clinic" 운영, 교내 인공지능 기술확산을 위한 교원대상 "AI확산연구회" 운영, AI 비교과 단기과정 운영, "인공지능융합세미나" 운영 및 지역사회에 개방
지원자격
[석사 및 석·박사 통합 과정]
1. 국내 외 정규 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입학일 이전에 취득 예정자
2. 법령에 의하여 위와 동등한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박사 과정]
1. 국내 외 정규 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입학일 이전에 취득 예정자
2. 법령에 의하여 위와 동등한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1. 국내 외 정규 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입학일 이전에 취득 예정자
2. 법령에 의하여 위와 동등한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박사 과정]
1. 국내 외 정규 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입학일 이전에 취득 예정자
2. 법령에 의하여 위와 동등한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합격자 혜택
- 정규 학기 등록금 보조
- 고성능 GPU 서버 무상 지원
- 프로젝트 참여 시 인건비 추가 지원
- 국내 외 학술대회 참가 지원
- 창업 지원 및 기숙사 우선 배정
- 고성능 GPU 서버 무상 지원
- 프로젝트 참여 시 인건비 추가 지원
- 국내 외 학술대회 참가 지원
- 창업 지원 및 기숙사 우선 배정
부스번호 : 22
충남대학교
대학원소개
1) 목표
- 세계적 수준의 AI 기술을 이해하고 실제 산업 현장의 문제를 찾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실무형 AI분야 고급 인재 양성
2) 전공명
- 바이오AI융합학과: AI 생명·약학 전공, AI 동물바이오 전공, AI 식물바이오 전공
- 컴퓨터공학과: 인공지능 전공
3) 주요 내용
- (교육) 특화산업분야의 AI융합혁신인재 양성: 지역의 기술 및 인력 수요를 기반으로 3개의 세부 트랙(AI메디바이오, AI농생명바이오, AI스마트라이프) 교육과정 구성, 운영 및 산학공동프로젝트 연계 교육 진행
- (연구) AI⦁Domain 초융합 모델 기반 연구: 바이오AI융합연구센터를 중심으로 국책 연구소, 공공기관, 산업체와 산학협력 AI 연구생태계를 구축하고, AI와 Domain 분야의 연구진을 초융합한 산학공동연구 프로젝트를 체계화하여 특허, 논문, 기술이전과 같은 핵심 연구성과 도출
- (산학협력) 산합협력 콘소시엄 기반 창업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 지역특화 산업체 및 공공기관과 업무협약체결을 통한 산학교차인턴십, 겸직(겸임)교수제, 산업체 친화형 교육과정 운영 및 연구성과에 대한 실질적 기술 사업화 지원체계 구축 및 창업 밀착 지원
- 세계적 수준의 AI 기술을 이해하고 실제 산업 현장의 문제를 찾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실무형 AI분야 고급 인재 양성
2) 전공명
- 바이오AI융합학과: AI 생명·약학 전공, AI 동물바이오 전공, AI 식물바이오 전공
- 컴퓨터공학과: 인공지능 전공
3) 주요 내용
- (교육) 특화산업분야의 AI융합혁신인재 양성: 지역의 기술 및 인력 수요를 기반으로 3개의 세부 트랙(AI메디바이오, AI농생명바이오, AI스마트라이프) 교육과정 구성, 운영 및 산학공동프로젝트 연계 교육 진행
- (연구) AI⦁Domain 초융합 모델 기반 연구: 바이오AI융합연구센터를 중심으로 국책 연구소, 공공기관, 산업체와 산학협력 AI 연구생태계를 구축하고, AI와 Domain 분야의 연구진을 초융합한 산학공동연구 프로젝트를 체계화하여 특허, 논문, 기술이전과 같은 핵심 연구성과 도출
- (산학협력) 산합협력 콘소시엄 기반 창업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 지역특화 산업체 및 공공기관과 업무협약체결을 통한 산학교차인턴십, 겸직(겸임)교수제, 산업체 친화형 교육과정 운영 및 연구성과에 대한 실질적 기술 사업화 지원체계 구축 및 창업 밀착 지원
지원자격
1) 석사과정 및 석·박사통합과정
- 국내·외 학사 이상의 학위 소지자 또는 2026년 2월 말까지 취득 예정자
- 법령에 의거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하는 자
2) 박사과정
- 국내·외 석사 이상의 학위 소지자 또는 2026년 2월 말까지 취득 예정자
- 법령에 의거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하는 자
- 국내·외 학사 이상의 학위 소지자 또는 2026년 2월 말까지 취득 예정자
- 법령에 의거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하는 자
2) 박사과정
- 국내·외 석사 이상의 학위 소지자 또는 2026년 2월 말까지 취득 예정자
- 법령에 의거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하는 자
합격자 혜택
1) 장학금 등 재정 지원(전일제 학생 대상)
- 등록금 및 학생 인건비 지원
> 25년 기준: 1~2학기차 - 등록금 전액, 석·박사 지정 인건비 지급
> 3~4학기차 - R&D 성과에 따른 등록금 차등 지급, 석·박사 지정 인건비 지급
- R&D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 추가 지급
- 기타 국내외 학술행사 참가 지원, 해외연수 및 창업지원
- 등록금 및 학생 인건비 지원
> 25년 기준: 1~2학기차 - 등록금 전액, 석·박사 지정 인건비 지급
> 3~4학기차 - R&D 성과에 따른 등록금 차등 지급, 석·박사 지정 인건비 지급
- R&D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 추가 지급
- 기타 국내외 학술행사 참가 지원, 해외연수 및 창업지원
부스번호 : 23
한양대학교 ERICA
대학원소개
1) 개요
- 혁신적인 AI 기술 개발을 선도할 학술 인재, 글로벌 산업계의 성장을 주도할 산업 인재, AI 신기술 사업화에 도전할 기술창업 인재를 양성
- 인공지능 지식을 기반으로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융합적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산학인재 양성
2) 전공명
-일반대학원 인공지능융합학과, 휴먼로봇인공지능융합전공, 바이오인공지능융합전공
3) 주요 내용
-(교육)실용적 융합교육과정 지향하며 인공지능 산학 커리큘럼 및 수업 운영체계를 위한 산업체 의견 수렴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IAB (Industry Advisory Board), M type IC-PBL+, 대학원 G캡스톤 운영, 전주기(Level)별 인공지능교육 운영
-(연구)성과지향형 실용적 연구개발을 통하여 인공지능 융합연구 고도화, 다학제적 연구시스템 구축을 통한 공동 연구체계 확립
-(산학)현장 중심형 AI융합 프로젝트 운영: 17개 AI융합 서비스/제품 관련 협력기업 및 49개 HAI(Hanyang AI) 멤버십 기업 참여, 22개 기업 산학네트워크 협력 참여
-(지원시스템)체계적인 산학협력 및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행정 시스템으로 연구지원 : AI융합연구소를 활용한 원-스톱 서비스(산학연구지원, 산학 현장교육 지원, 인턴십 관리, 산학 온라인 교육 콘텐츠 기획, 산학결과물 전시홍보, 지적재산권 관리 지원 등)
- 혁신적인 AI 기술 개발을 선도할 학술 인재, 글로벌 산업계의 성장을 주도할 산업 인재, AI 신기술 사업화에 도전할 기술창업 인재를 양성
- 인공지능 지식을 기반으로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융합적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산학인재 양성
2) 전공명
-일반대학원 인공지능융합학과, 휴먼로봇인공지능융합전공, 바이오인공지능융합전공
3) 주요 내용
-(교육)실용적 융합교육과정 지향하며 인공지능 산학 커리큘럼 및 수업 운영체계를 위한 산업체 의견 수렴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IAB (Industry Advisory Board), M type IC-PBL+, 대학원 G캡스톤 운영, 전주기(Level)별 인공지능교육 운영
-(연구)성과지향형 실용적 연구개발을 통하여 인공지능 융합연구 고도화, 다학제적 연구시스템 구축을 통한 공동 연구체계 확립
-(산학)현장 중심형 AI융합 프로젝트 운영: 17개 AI융합 서비스/제품 관련 협력기업 및 49개 HAI(Hanyang AI) 멤버십 기업 참여, 22개 기업 산학네트워크 협력 참여
-(지원시스템)체계적인 산학협력 및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행정 시스템으로 연구지원 : AI융합연구소를 활용한 원-스톱 서비스(산학연구지원, 산학 현장교육 지원, 인턴십 관리, 산학 온라인 교육 콘텐츠 기획, 산학결과물 전시홍보, 지적재산권 관리 지원 등)
지원자격
1)석사과정 및 석박사학위통합과정
- 국내외 대학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학위 취득예정자
- 법령에 의하여 위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을 받은 자
2)박사과정
- 국내외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학위 취득예정자
- 법령에 의하여 위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을 받은 자
- 국내외 대학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학위 취득예정자
- 법령에 의하여 위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을 받은 자
2)박사과정
- 국내외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학위 취득예정자
- 법령에 의하여 위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을 받은 자
합격자 혜택
-전일제 학생 등록금 전액 지원(정부지원사업기간 내)
-연구실별 산학프로젝트 수행에 따른 학생인건비 지원 및 인턴십 지원
-대학원생 연구공간 지원 및 공용 연구시설장비 사용 지원
-연구실별 산학프로젝트 수행에 따른 학생인건비 지원 및 인턴십 지원
-대학원생 연구공간 지원 및 공용 연구시설장비 사용 지원
부스번호 : 24
부산대학교
대학원소개
1) 개요
- 디지털 대전환을 선도하는 현장 데이터 기반의 산업문제 해결형 인공지능 기술 기반 글로벌 산학 인재 양성
2) 전공명
- 대학원 정보융합공학과 AI전공
3) 주요 내용
- (선발): 동남권 우수학부생 유치(전공자&비전공자), 수요산업계 인력
- (교육): · 교과 활동: 실무 중심 AI 핵심 및 AI 융합 교과 (AI+제조·물류, AI+헬스케어)
· 비교과: 입학 전 보충과목이수(비전공자), 현장실습 및 인턴십, MOOC 지원
- (연구): 학생주도 AI 융합 프로젝트 수행(산업 수요 기반)
- (산학): 지역 특화 산학협력 지원 시스템, 채용 연계형 인턴십
- 디지털 대전환을 선도하는 현장 데이터 기반의 산업문제 해결형 인공지능 기술 기반 글로벌 산학 인재 양성
2) 전공명
- 대학원 정보융합공학과 AI전공
3) 주요 내용
- (선발): 동남권 우수학부생 유치(전공자&비전공자), 수요산업계 인력
- (교육): · 교과 활동: 실무 중심 AI 핵심 및 AI 융합 교과 (AI+제조·물류, AI+헬스케어)
· 비교과: 입학 전 보충과목이수(비전공자), 현장실습 및 인턴십, MOOC 지원
- (연구): 학생주도 AI 융합 프로젝트 수행(산업 수요 기반)
- (산학): 지역 특화 산학협력 지원 시스템, 채용 연계형 인턴십
지원자격
1) 석사과정
- 국내·외 대학에서 학사학위 취득(예정)자
- 법령에 의하여 위 항과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2)박사과정
- 국내·외 대학에서 석사학위 취득(예정)자
- 법령에 의하여 위 항과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3)석·박사 통합과정
- 국내․외 대학 또는 법령에 의하여 인정된 학사학위 취득(예정)자 ≪통합1 유형≫
- 부산대학교 석사과정에서 15학점 이상 취득(예정)자 중 진학대상자 ≪통합2 유형≫
- 국내·외 대학에서 학사학위 취득(예정)자
- 법령에 의하여 위 항과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2)박사과정
- 국내·외 대학에서 석사학위 취득(예정)자
- 법령에 의하여 위 항과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3)석·박사 통합과정
- 국내․외 대학 또는 법령에 의하여 인정된 학사학위 취득(예정)자 ≪통합1 유형≫
- 부산대학교 석사과정에서 15학점 이상 취득(예정)자 중 진학대상자 ≪통합2 유형≫
합격자 혜택
- 대학원 과정 기간 등록금 및 연구장려금 지급(장학제도는 변경될 수 있으며 본원 규정에 의거하여 지급함)
- 전일제 신입생 등록금 전액 지원
- 연구 우수 성과 대학원생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등 해외 연수 기회 제공
- NeurIPS, ICML 등 해외 Top Tier AI 컨퍼런스 참가 지원
- LG전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전기연구원(KERI), 씨젠의료재단 AI연구소 등 국내 협력기관 인턴쉽 기회 제공
- 개인 연구장비지원 및 전용 연구공간 지원
- 전일제 신입생 등록금 전액 지원
- 연구 우수 성과 대학원생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등 해외 연수 기회 제공
- NeurIPS, ICML 등 해외 Top Tier AI 컨퍼런스 참가 지원
- LG전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전기연구원(KERI), 씨젠의료재단 AI연구소 등 국내 협력기관 인턴쉽 기회 제공
- 개인 연구장비지원 및 전용 연구공간 지원
부스번호 : 25
동국대학교
대학원소개
1) 개요
- 4차 산업혁명 사회에서 최첨단 지능정보 역량을 기반으로 사회 전반에 혁신을 이루고 이를 선도하기 위한 인재 육성
2) 전공명
- 일반대학원(컴퓨터·AI학과)
* 7개 전공 운영 : 컴퓨터공학, 멀티미디어소프트웨어, 인공지능, 정보보안융합, 게임공학, 보건의료AI, 융합콘텐츠AI
3) 주요 내용
- (교육) 급변하는 인공지능과 융합학문 교육의 유연성 향상을 위한 신규 모듈형 교과과정 수립
- (연구) AI융합연구 촉진을 위한 동국대 전 캠퍼스를 인공지능 테스트베드화 하여 기업의 문제를 직접 체험하면서 협력하는 AI 연구 촉진
- (산학) 산업 니즈에 기반한 산학공동 프로젝트 추진 및 모듈형 교과과정을 통해 맞춤형 인재 양성
- (체계) AI 융합 확산을 위한 타 학문과의 '마중'교과 운영, Best practice 도입을 위한 국내 및 글로벌 자문단 운영, 활성화 및 자립화를 위한 플랫폼 전략
- 4차 산업혁명 사회에서 최첨단 지능정보 역량을 기반으로 사회 전반에 혁신을 이루고 이를 선도하기 위한 인재 육성
2) 전공명
- 일반대학원(컴퓨터·AI학과)
* 7개 전공 운영 : 컴퓨터공학, 멀티미디어소프트웨어, 인공지능, 정보보안융합, 게임공학, 보건의료AI, 융합콘텐츠AI
3) 주요 내용
- (교육) 급변하는 인공지능과 융합학문 교육의 유연성 향상을 위한 신규 모듈형 교과과정 수립
- (연구) AI융합연구 촉진을 위한 동국대 전 캠퍼스를 인공지능 테스트베드화 하여 기업의 문제를 직접 체험하면서 협력하는 AI 연구 촉진
- (산학) 산업 니즈에 기반한 산학공동 프로젝트 추진 및 모듈형 교과과정을 통해 맞춤형 인재 양성
- (체계) AI 융합 확산을 위한 타 학문과의 '마중'교과 운영, Best practice 도입을 위한 국내 및 글로벌 자문단 운영, 활성화 및 자립화를 위한 플랫폼 전략
지원자격
1) 석사과정 및 석박사통합과정
- 국내·외 대학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2026년 2월 말 이전 취득 예정자
-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하여 위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
- 학사과정 출신학과 또는 전공과 관계없이 지원할 수 있음
※ 단, 비동일 학과 출신자는 입학 후 소정의 학부 개설과목(선수과목)을 이수하여야 함
2) 박사과정
- 국내·외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2026년 2월 말 이전 취득 예정자
-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하여 위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
- 석사과정 출신학과 또는 전공과 관계없이 지원할 수 있음
※ 단, 비동일 학과 출신자는 입학 후 소정의 석사과정 개설과목(선수과목)을 이수하여야 함
- 국내·외 대학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2026년 2월 말 이전 취득 예정자
-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하여 위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
- 학사과정 출신학과 또는 전공과 관계없이 지원할 수 있음
※ 단, 비동일 학과 출신자는 입학 후 소정의 학부 개설과목(선수과목)을 이수하여야 함
2) 박사과정
- 국내·외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또는 2026년 2월 말 이전 취득 예정자
-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하여 위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
- 석사과정 출신학과 또는 전공과 관계없이 지원할 수 있음
※ 단, 비동일 학과 출신자는 입학 후 소정의 석사과정 개설과목(선수과목)을 이수하여야 함
합격자 혜택
1) 학위 과정 등록금 및 생활비 일부 지원
2) 50억 이상 규모의 딥러닝 서버 실험 환경 제공
3) 글로벌 교류 프로그램 참여 기회 제공 (카네기멜론대학교,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등)
2) 50억 이상 규모의 딥러닝 서버 실험 환경 제공
3) 글로벌 교류 프로그램 참여 기회 제공 (카네기멜론대학교,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등)
부스번호 : 26
전남대학교
대학원소개
1) 개요
▸ 전남대학교 인공지능융합대학원은 지역거점 국립대로서 미래기술을 선도하는 국내 최고 AI-HOME 융합 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을 비전으로 AI융합실전 교육을 통한 국가 및 지역산업 핵심인재 양성을 목표로 함
▸ T.R.A.I.N을 핵심가치로, 인재상을 '인공지능핵심기술 및 융합기술을 AI-HOME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인재'로 설정하고 지역 기업들이 겪는 기술적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인력을 공급함으로써 지역 및 국가산업 발전에 공헌하고자 함
(※ T:Two-track(X+AI, AI+X), R:Real demonstation, A:AI micro degree, I:Industrial field-oriented, N:New trend)
2) 전공명
▸인공지능융합
3) 주요 내용
▸ 지역 전략산업과의 전략적 연계를 위해 AI 융합분야를 HOME(Healthcare On demand(HO), Mobility(M), Energy(E))로 선정하여 AI-HOME 융합인력 양성을 추진
▸ Two-Track 교육과정 운영 : X+AI 인재를 위한 융합과정과 AI+X 인재를 위한 AI심화과정의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 산업체 현장에 바로 투입이 가능한 실무능력을 갖추고 기업 수요를 만족할 수 있는 현장 밀착형 인공지능 융합 인재양성
▸ 전남대학교 인공지능융합대학원은 지역거점 국립대로서 미래기술을 선도하는 국내 최고 AI-HOME 융합 인력양성 기관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을 비전으로 AI융합실전 교육을 통한 국가 및 지역산업 핵심인재 양성을 목표로 함
▸ T.R.A.I.N을 핵심가치로, 인재상을 '인공지능핵심기술 및 융합기술을 AI-HOME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인재'로 설정하고 지역 기업들이 겪는 기술적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인력을 공급함으로써 지역 및 국가산업 발전에 공헌하고자 함
(※ T:Two-track(X+AI, AI+X), R:Real demonstation, A:AI micro degree, I:Industrial field-oriented, N:New trend)
2) 전공명
▸인공지능융합
3) 주요 내용
▸ 지역 전략산업과의 전략적 연계를 위해 AI 융합분야를 HOME(Healthcare On demand(HO), Mobility(M), Energy(E))로 선정하여 AI-HOME 융합인력 양성을 추진
▸ Two-Track 교육과정 운영 : X+AI 인재를 위한 융합과정과 AI+X 인재를 위한 AI심화과정의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 산업체 현장에 바로 투입이 가능한 실무능력을 갖추고 기업 수요를 만족할 수 있는 현장 밀착형 인공지능 융합 인재양성
지원자격
▸석사학위과정
∙ 학사학위 소지(예정)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박사학위과정
∙ 석사학위 소지(예정)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석․박사학위과정
∙ 학사학위 소지(예정)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 학사학위 소지(예정)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박사학위과정
∙ 석사학위 소지(예정)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석․박사학위과정
∙ 학사학위 소지(예정)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합격자 혜택
▸ 장학혜택
∙ 석․박사통합 과정-대학원총장 명예장학생(GS-PHF)
- 전학기 등록금 전액 감면
∙ 박사 진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석사과정 2학년 재학생 및 수료생으로 박사과정 진학 예정자 1인당 10,000천원지원
∙ 자대 학사 졸업 후 석사 진입 - 도전(미래)장학
- 이공계열 2,300천원
∙ 석사, 박사, 석․박사통합 과정
- 연구조교(RA) 월 300~500천원 지원, BK연구조교(TA) 월 400~500천원 지원
- GA 월 400천원
∙ 전일제 대학원생 Fellowship 장학금 최소 1,000천원 지원
∙ 전일제 대학원생 BK연구장학금 지원
∙ 교내․교외 장학금 지원
∙ 연구논문장려 지원-단독저자, 주저자로 논문 게재시 300~900천원 지원
∙ 국외연수 지원
∙ 외국어능력 향상 지원-전남대학교 언어교육원 외국어강좌 수강료 지원
∙ 대학원 인재상 시상-우수 연구자 및 국제공동연구자 시상 1,000~2,000천원
▸등록금에 준하는 학생인건비 지급
▸우수성과 장학금 지원(AI해커톤 경진대회 및 산학협력 성과공유발표회 등)
▸학술 활동비 지원
∙ 특허등록비용 지원(전액 지원)
∙ 학술지 게재 비용 지원(최대 전액 지원)
∙ 국제학술대회 논문 발표 관련 등록비 및 여비 지원
∙ 국제학술교류 여비 지원(최대 6,000천원 지원)
∙ 국제공동연수(박사 및 박사수료생) 최대 26,000천원 지원
▸창의자율과제를 통한 연구활동 지원(매년 5~12팀 지원) 최대 3,000천원 지원
∙ 석․박사통합 과정-대학원총장 명예장학생(GS-PHF)
- 전학기 등록금 전액 감면
∙ 박사 진입 - 학문후속세대양성
- 석사과정 2학년 재학생 및 수료생으로 박사과정 진학 예정자 1인당 10,000천원지원
∙ 자대 학사 졸업 후 석사 진입 - 도전(미래)장학
- 이공계열 2,300천원
∙ 석사, 박사, 석․박사통합 과정
- 연구조교(RA) 월 300~500천원 지원, BK연구조교(TA) 월 400~500천원 지원
- GA 월 400천원
∙ 전일제 대학원생 Fellowship 장학금 최소 1,000천원 지원
∙ 전일제 대학원생 BK연구장학금 지원
∙ 교내․교외 장학금 지원
∙ 연구논문장려 지원-단독저자, 주저자로 논문 게재시 300~900천원 지원
∙ 국외연수 지원
∙ 외국어능력 향상 지원-전남대학교 언어교육원 외국어강좌 수강료 지원
∙ 대학원 인재상 시상-우수 연구자 및 국제공동연구자 시상 1,000~2,000천원
▸등록금에 준하는 학생인건비 지급
▸우수성과 장학금 지원(AI해커톤 경진대회 및 산학협력 성과공유발표회 등)
▸학술 활동비 지원
∙ 특허등록비용 지원(전액 지원)
∙ 학술지 게재 비용 지원(최대 전액 지원)
∙ 국제학술대회 논문 발표 관련 등록비 및 여비 지원
∙ 국제학술교류 여비 지원(최대 6,000천원 지원)
∙ 국제공동연수(박사 및 박사수료생) 최대 26,000천원 지원
▸창의자율과제를 통한 연구활동 지원(매년 5~12팀 지원) 최대 3,000천원 지원
부스번호 : 27
아주대학교
대학원소개
1) 개요
- 스타트업 마인드를 갖춘 실전형 AI 융합 고급인재 양성
• 인공지능 핵심 연구·개발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
• 산업체의 실무 문제 해결형 실전적 인재 양성
• AI스타트업 생태계의 DNA를 갖춘 인재 양성
2) 전공명
- 일반대학원 인공지능학과
3) 주요 내용
- (교육) BCDF 4단계 및 AMP 계층별 인공지능 심화교육, AI스타트업이 참여하는 실전 프로젝트 교육
- (연구) DREAM AI 코어기술 연구, 산업체 수요자 중심 융합 연구
- (산학협력) 산학공동 프로젝트 수행, 프로젝트 교육과 연계한 교차 인턴십
- (가치확산) 판교/광교 생태계 협력 확산, AI워크숍 공동 계최 및 재직자 교육 활용
- (사회공헌) AI스타트업 인력난 해소, AI 소양 및 스타트업 마인드 인력 배출
- 스타트업 마인드를 갖춘 실전형 AI 융합 고급인재 양성
• 인공지능 핵심 연구·개발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
• 산업체의 실무 문제 해결형 실전적 인재 양성
• AI스타트업 생태계의 DNA를 갖춘 인재 양성
2) 전공명
- 일반대학원 인공지능학과
3) 주요 내용
- (교육) BCDF 4단계 및 AMP 계층별 인공지능 심화교육, AI스타트업이 참여하는 실전 프로젝트 교육
- (연구) DREAM AI 코어기술 연구, 산업체 수요자 중심 융합 연구
- (산학협력) 산학공동 프로젝트 수행, 프로젝트 교육과 연계한 교차 인턴십
- (가치확산) 판교/광교 생태계 협력 확산, AI워크숍 공동 계최 및 재직자 교육 활용
- (사회공헌) AI스타트업 인력난 해소, AI 소양 및 스타트업 마인드 인력 배출
지원자격
1) 석사과정
• 국내·외 4년제 대학(교) 졸업 및 졸업예정자
• 기타 법령에 따라 위와 동등한 자격이 있다고 인정된 자
• 학·연·산 협동과정 지원자는 협약 연구소의 연구원 또는 산업체에 재직 중인 자로서 협약기관의 추천을 받은 자에 한함
2) 박사과정
• 국내·외 대학원에서 석사학위 취득자 및 취득예정자
• 기타 법령에 따라 위와 동등한 자격이 있다고 인정된 자
• 학·연·산 협동과정 지원자는 협약 연구소의 연구원 또는 산업체에 재직 중인 자로서 협약기관의 추천을 받은 자에 한함
3) 석박사 통합과정
• 국내·외 4년제 대학(교) 졸업 및 졸업예정자
• 기타 법령에 따라 위항과 동등한 자격이 있다고 인정된 자
• 학부 졸업성적이 3.0 (4.50만점) 이상인 자 또는 출신대학의 해당 학과장(전공주임교수)의 추천(자유양식)을 받은 자
• 국내·외 4년제 대학(교) 졸업 및 졸업예정자
• 기타 법령에 따라 위와 동등한 자격이 있다고 인정된 자
• 학·연·산 협동과정 지원자는 협약 연구소의 연구원 또는 산업체에 재직 중인 자로서 협약기관의 추천을 받은 자에 한함
2) 박사과정
• 국내·외 대학원에서 석사학위 취득자 및 취득예정자
• 기타 법령에 따라 위와 동등한 자격이 있다고 인정된 자
• 학·연·산 협동과정 지원자는 협약 연구소의 연구원 또는 산업체에 재직 중인 자로서 협약기관의 추천을 받은 자에 한함
3) 석박사 통합과정
• 국내·외 4년제 대학(교) 졸업 및 졸업예정자
• 기타 법령에 따라 위항과 동등한 자격이 있다고 인정된 자
• 학부 졸업성적이 3.0 (4.50만점) 이상인 자 또는 출신대학의 해당 학과장(전공주임교수)의 추천(자유양식)을 받은 자
합격자 혜택
• 등록금 장학 100% 지급 및 매월 장학금 추가 지급
• 네이버, 카카오, 매스프레소 등 AI 스타트업 인턴십 기회
• 장기 인턴십 수행 시 석사졸업논문 대체
• 40개 대기업 및 유망 스타트업과의 산학공동프로젝트 참여
• 아주대 의대/약대 교수진이 참여하는 바이오메드 교육
• 포티투닷, 쏘카가 직접 하는 모빌리티 프로젝트 교육
• 취/창업 교육 및 연 4회 AI 워크샵 교육 무료참여
• 네이버, 카카오, 매스프레소 등 AI 스타트업 인턴십 기회
• 장기 인턴십 수행 시 석사졸업논문 대체
• 40개 대기업 및 유망 스타트업과의 산학공동프로젝트 참여
• 아주대 의대/약대 교수진이 참여하는 바이오메드 교육
• 포티투닷, 쏘카가 직접 하는 모빌리티 프로젝트 교육
• 취/창업 교육 및 연 4회 AI 워크샵 교육 무료참여